반응형 시설관리/통신 및 기타16 엘리베이터 승강기 관리요령 및 안전관리자 직무범위 ◉ 엘리베이터 갇힘 사고 발생 시 관리자 행동요령 엘리베이터 내에 있는 비상통화장치를 이용하여 현재 상태 (질식 및 추락위험 내용)를 알리고 자신의 임의 행동으로 탈출하려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당부를 합니다 엘리베이터 승강기번호를 확인한 후 유지관리업체 또는 119 구조대에 고장 을 신고합니다. 카 안에 갇혀있는 승객과 수시로 연락을 계속하여 응급환자가 있는지 또는 갇혀있는 인원 등을 파악합니다. 구조작업이 실시될때는 다른 외부 일반인이 엘리베이터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만들고 안전조치를 취합니다.(엘리베이터 입구 차단) 한국승강기 안전공단에 고장신고를 합니다. ◉ 지진 및 화재가 발생했을 시 엘리베이터를 피난하는 층 (보통은 1층)으로 이동시켜 멈추게 합니다. 엘리베이터 상하 통로는 화재 발생 시 연도(굴.. 2022. 6. 23. 독성가스 누출시 행동요령 (암모니아, 염소) 독성가스 저장소를 관리하다 보면 종종 가스 경보가 울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물론 오동작인 때가 많이 있지만 실제로 독성가스가 누출되어 감지기가 작동될 수가 있기 때문에 무턱대고 저장소 내부로 들어가는 것은 너무나도 위험한 행동이다. 저장소 내부 중화장치가 잘 작동을 하는지 실내부로 들어가기전 환기상태는 좋은지 등의 체크리스트를 잘 준수해야 하며 어떠한 독성가스가 저장되어 있는지도 잘 살펴보아야 한다. ● 독성가스 란? 인체에 유해한 가스에 구분이 될수 있도록 부취제를 섞어서 생산하게 되는데 점검을 할 때 우선적으로 냄새가 나는지 체크해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여러 가지 독성가스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일산화탄소, 암모니아, 염소 등이 있으며 사람 인체에 유해한 가스로 분류가 된다. 주로 저장되는 독.. 2022. 3. 12. 엘리베이터 승강기 설치시 소음방지 대책 ■ 엘리베이터 승강기 소음문제 1970년대 이후 초고층 빌딩과 공동주택의 고층화로 엘리베이터 또한 고속화로 되어가고 있다. 고층 공동주택 같은 경우에는 복도식보다는 입주자의 개인 사생활 보호를 위해서 계단식으로 건설이 되는 추세이고 엘리베이터 소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카를 들어 올리는 권상기는 로프식을 대부분 채택하고 있으며 공동주택 같은 경우 고층 세대에서 소음 발생률이 높을 수가 있고 빌딩도 마찬가지이다. 엘리 베어터 균평추가 통로를 지나갈 때 벽과 인접한 세대에 진동을 유발할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엘리베이터 승강기 설치 시 소음대책 1. 권상기는 방진고무 또는 방진 스프링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전체적인 1차적 고유 진동수를 20Hz 이하로 해야 한다. 2. 엘리.. 2022. 1. 2. 시설관리 통신 전화 예비선 포트를 활용해서 신규전화 작업. ◆ 예비포트 활용해 전화작업 하기 사무실 한실에는 전화포트가 한정적으로 설치가 되어있는 반면 사용자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가 생긴다.만약 전화포트는 2개인데 사용자가 4명 이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전화포트에는 예비로 사용할수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활용해 신규전화를 넣어 줄수가 있다.보통 UTP선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포트당 최대 4개 회선을 넣어줄수가 있다. - 일반적으로 통신포트를 보게 되면 T로 시작하는 부분과 L로 시작하는 부분이 있는데 각각 전화 와 인터넷 포트를 표시한다.전화 단자기 1개가 있더라도 내부를 뜯어보면 최대 4회선까지 사용할수 있는것을 확인할수 있을것이다. - 단자 내부를 열어보게되면 총8가닥이 물려있고 4회선까지 전화를 사용할수가 있다.보통은 파란색이 주회선이고 나머지가 예비회.. 2021. 6. 3.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