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설관리/통신 및 기타16 장애인용 승강기 크기 내부 외부 설치기준 알아보기 일정 건축물 연면적(2,000㎡)과 6층 이상이 되는 공공시설, 관공서 등에는 의무적으로 장애인용 승강기 설치가 이행되어야 합니다. 사회적 약자인 분들을 위한 복지정책이 점점 보완이 되고 그에 맞게 관련 설치 법령도 수정이 되고 있습니다. ◼︎ 장애인용 승강기 크기 규정 승강기 폭 1.1m 이상, 깊이 1.35m 이상으로 구성 신축의 경우 폭 1.6m 이상으로 설계해야 함 승강기 출입문 통과유효폭 0.8m 이상(신축의 경우 0.9m 이상) ◼︎ 장애인 승강기 설치기준 설계를 할 때는 가급적 건물 출입구와 근접된 곳에 장애인용 승강기를 설치 장애인용 승강기 전면에는 1.4m * 1.4m 크기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 승강장바닥과 승강기바닥 틈은 3cm 이하가 되어야 함 ◼︎ 내부 설계기준 승강기 내부 휠체어.. 2023. 10. 4. MDF IDF 중간단자 통신 전화 이설 신설 작업 시설일을 하다 보면 전기일을 하면서 통신보직을 함께 겸하게 될 수가 있습니다. 전화 신설, 이설의 경우 혼자서 처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고 각각 통신실, 현장에 1명씩 있으며 작업을 해야 수월한 측면이 있습니다. 통신실에서는 전화를 연결해 주고 현장에서는 전화선을 연결해 주는 형태입니다. ◼︎ 전화 통신실 구조 건물에 메인으로 통신선이 들어와 장비가 있는 실을 메인통신실 즉 MDF실 이라고 부릅니다. 실 내부에는 서버관리 PC 및 서버가 있고 건물의 메인전화단자가 있습니다. MDF(메인통신실)에서 이동되는 전화단자에 전화선을 다시 물려주는 구조이며, 현장에서는 전화콘세트에 전화선을 연결해 줘야 합니다. 해당 책상에 전화라인이 들어와 있지 않으면 작업하는 건물의 IDF실(예하통신실)에서 연결을 해주는.. 2023. 5. 4. 중량물취급 안전수칙 및 주의사항 사무현장 또는 공사현장 등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사고가 바로 중량물 취급 중 벌어지게 됩니다. 무거운 물건을 중심점 생각 없이 무심코 들게 되면 척추신경에 무리가 가게 되고 디스크 증상이 발생될 수가 있어 산업재해로 분류가 되고 있습니다. 현장에서의 중량물취급을 주의해야 해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사무실에서도 생각보다 많은 사고가 발생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정수기 물통을 들어 올린 다던가, A4용지 박스를 옮기는 등의 행동, 문서를 쌓아두고 옮기는 행위 등 모두 중량물 취급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 중량물취급의 중요성 허리 근육의 파열은 예기치 않게 찾아오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렇게 무거운 물건이 아니더라도 들어 올리는 자세가 잘못되었거나 너무 급하게 작업을 하게 되면.. 2022. 10. 4. 가스기사 합격률 및 응시자격 연구소 및 생산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고압가스를 취급하고 그로 인한 안전규제와 관리규정이 있습니다. 각 가스의 특성에 맞게 관리감독을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이 생기는 가스기사는 산업현장 다방면으로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특정 현장에는 기본적으로 가스기사를 요구하는 곳이 상당히 많고 법적으로 안전관리자 자격이 되기 때문입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가스기사의 관심도는 상당히 높고 그만큼 응시생이 많은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가스기사 시험일정 올해 정기3회 차 까지 필기 접수는 마무리가 되었고 3회차 실기 빈자리 접수만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빈자리 접수는 2022년 10월 10일 ~ 10월 11일까지 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가스기사 합격률 최근 10년 치의 자료를 살펴보면 가스 기사 .. 2022. 9. 19.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