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설관리/전기60 3로 스위치 설지장소 및 구조 결선 이해 ◆ 3로 스위치 설치 장소 1. 스위치 양간의 거리가 먼 경우 예를 들어 복도의 길이가 길고 양쪽 끝에 출입문이 2개가 존재한다면 한 장 소에 스위치가 있는 것보다 2개의 스위치가 있는 것이 편리하다. 양쪽에서 전등을 on off 할 수 있는 구조이다. 2. 상하간의 거리가 긴 경우 계단 등을 설치할 때 상 하의 거리가 긴 경우에도 3으로 스위치를 설치해 편리하게 전등을 컨트롤할 수가 있다. 3. 넓은 사무실에 출입구가 2곳 출입구가 2곳이고 사무실의 평수가 넓은 곳은 편리성을 위해서 3으로 스위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 3로 스위치 구조 - 서로 다른 스위치의 전등 on off 영향을 받게 되는 구조이고 만약 한쪽 스위치가 A 위치에 있다면 다른 스위치도 A에 있어야 전등이 점등 위다. 반대로 한.. 2022. 1. 2. 정류기반 배터리 수명 관리 및 폭발사고 예방. ❖ 정류기반 배터리 관리 수변전실에 설치되어있는 정류기반 배터리는 정전 시 각 차단기 조작반의 전원 및 비상조명 점등에 사용이 된다. 평상시 주기적인 배터리 성능과 수명을 체크하지 않는다면 비상시 꼭 필요한 전원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배터리 수명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보통 수명은 4년~5년 정도를 기본으로 보고 있으며 주변 환경과 배터리 브랜드에 따라서 오차가 발생할 수가 있다. 온도관리가 잘 이루어진다면 10년까지도 사용하는 경우가 생기는 만큼 그 사용범위가 크다고 볼 수가 있다. ❖ 배터리 전압 체크 정류기반에 들어가는 배터리의 수는 모두 9개로 한 개당 전압이 13.2v정도가 나와야 하고 모두 합친 값이 118v정도가 된다. 배터리 교체시.. 2021. 5. 27. 누전 차단기 점검 사항들 정리. 시설관리 전기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가장 흔하게 접하게 되는 것이 분전반 설비가 아닐까 싶다. 그중 약전 계통을 담당하게 되는 누전 차단기의 점검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 누전차단기 (미니 20A) - 전등 및 전열을 주로 담당하게 되는 분전반 내부를 살펴보게 되면 사진과 같이 누전차단기가 라인 별로 설치가 되어있다.비교적 최근 설치가 되었다면 누전차단기 미니 15~20A 가 설치되었을 것이고 설치 연도가 오래되었다면 와이드형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다. 전기 설비 또는 전기 라인에 누전 혹 락 단락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1차적으로 차단이 되어 안전을 보장해 주는 설비인 만큼 평소 점검이 중요시된다. - 아파트 EPS실에 들어가는 분전반 내부를 살펴보면 대부분 전등과 전열에 공급되는 차단기.. 2021. 5. 24. 노출 콘센트 2구 전선 연결해 벽에 부착 작업.(멀티 콘센트 만들기) 전기 작업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노출 콘센트 만드는 작업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시설관리에서는 공사성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자잘한 현장 업무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전열 라인을 구성해 주는 것이 있다. 전기 초보자 혹은 가정에서 전기 콘센트를 만들 계획이 있으신 분들이 참고할 내용을 담아 보려 한다. * 사용자재: 노출 2구 콘센트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기자재 중 하나인 노출 콘센트이다. 주로 3구와 2구짜리가 흔하게 쓰이며 간단한 전열 라인을 구성해 줄 때 사용한다. 아파트나 공장 그 외 현장에서도 동일하게 콘센트 만드는 작업은 필수로 여겨지고 있다. 1. 전열 라인을 구성할 때 보통 2인 1조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 명은 콘센트를 만들고 나머지 한명은 플러그 작업을 하는 경우다. 전열의 .. 2021. 5. 8.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