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설관리/전기60

절연저항 점검 주기 전기설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라인은 기본적으로 도체와 절연체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높은 전압, 전류로 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절연체의 상태를 절연저항의 점검 과정으로 기록을 한다. 절연저항 테스트는 메거기라는 장비로 점검을 진행하게 되는데 1.5V 건전지 4개의 직류전원이 승압과 컨버터 전원 변환 과정을 거쳐 DC500V를 도체에 보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절연체의 상태를 파악할 수가 있는 것이다. 메거 활용 - 배선의 피복이 벗지겨거나 전선이 맞닿아 쇼트 상태가 되거나 혹인 기기 자체의 절연파괴로 차단기가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될 때 메거기로 테스트할 수가 있다. 메거기 테스트 바늘이 0에 가까워질수록 절연상태가 좋지 못한 것을 뜻하고 숫자가 큰 곳에 가까워질수록 절연상태가 좋은 것으로 파악하면 된다. - 전.. 2022. 5. 6.
집에서 누전 차단기 떨어졌을때 대처방법~전기 나갔을때 당황 말아요 ◈ 누전 차단기 보통 집 현관 입구 신방장 안쪽에 차단기 박스가 있는데 누전차단기가 필요한 이유는 가전기기 혹은 전선선로 쪽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차단을 하기 위해서이다. 전기를 차단 함으로써 전기화재를 막을 수 있고 감전 사고까지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크게 전등과 전열(콘센트) 그리고 에어컨 차단기로 분류가 되어있고 보통은 전열(콘센트) 쪽에 문제가 생겨 차단기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 누전 차단기가 떨어지는 경우 1. 가전제품의 소손 많은 비율로 차단기를 떨어트리는 원으로 작용을 하게되는데 TV, 세탁기, 밥솥, 다리미, 헤어 드라이기 등등의 문제가 생긴 가전제품이 원인이 된다. 내부 기판이 소손되거나 혹은 코드가 파손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로 차단기가 떨어질 수가 있다.. 2022. 4. 11.
수배전반 PTT CTT 개방 단락 조작방법 알아보기 ◆ PTT CTT 란? - CTT (Curren Transformer Test Terminal)로 CT시험 단자라고 부른다. - PTT (Potential Transformer Test Terminal)로 PT시험 단자라고 부른다. 이것은 수배전반의 여러 가지 계전기 등을 테스트 혹을 교체할 때 사용하는 부품으로 사용이 된다. 다 야한 지시계기류인 전압계, 전력계, 전류계 등을 교체할 시 PTT는 개방하고 CTT는 단락 후 조작 전원을 OFF 후 교체를 진행하게 된다. ◆ 계전기 기기등을 교체 수리할 때 CTT PTT 위치 -PTT 계기 교체 혹은 수리를 요할때 테스트 플러그의 common bar를 제거한 상태로 ptt의 2차 측 양단에는 전압이 걸리지 않는 상태로 유지가 된다. -CTT 마찬가지로 계기.. 2022. 4. 8.
전기설비 법정 정기검사 주기 절차 ◈ 전기설비 법정 정기검사 전기설비의 법정 정기검사는 전기안전관리법 11조에 따른 전기설비 안정성 및 계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받아야 하는 필수 정기검사이다. 건물, 빌딩, 아파트 등을 관리하다 보면 주기적으로 검사 주기가 다가오게 되는데 무심코 검사일을 보내 버리지 않게끔 스케줄 관리를 해야 한다. ◈ 전기설비 정기검사 검사주기 검사주기가 모두 같은 것은 아니고 사업자의 특성에 따라 검사 주기가 조금씩 달라지게 되는데 짧게는 2년이 주기가 되고 길게는 5년마다 있는 경우도 있다. 공장 같은 경우는 보통 3년마다 검사가 이루어지고 규모가 있는 시설 또한 마찬가지이다. ◈ 신청절차 - 별도의 신청절차는 없고 검사주기가 되면 우편물이 사업장으로 날아오게 된다. 우편물 내용에 사업장의 전기설비 용량이 맞게 표.. 2022.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