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주형태의 60%가 아파트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여러 재난 상황에 대한 별도의 매뉴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여러 가지 재난 상황 중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피해를 주는 부분이 바로 화재이고 이로 인한 부상자 및 사망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화재 시 어떠한 대처방법으로 대응을 해야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아파트 소방시설 살펴보기
공동주택(아파트)에는 기본적으로 화재설비가 들어가 있고 항시 감시를 하고있는 상태입니다. 여러 가지 소방시설이 아파트 내에 설치가 되어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명칭 및 용도를 알고 있어야 화재 시 대응을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화재감지기>
아파트 실내 천정부를 살펴보면 둥근 모양의 감지기가 구역마다 붙어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화재가 발생되면 열,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가 울릴 수 있게 만들어주는 시스템입니다.
<스프링클러 설비>
이 설비는 아파트마다 설치가 된곳이 있고 안 된 곳이 있습니다. 화재로 인한 열로 인해 스프링클로 헤드가 터져 불이 자동으로 분사되는 시스템입니다. 소화효과는 가장 크지만 물로 인한 피해가 남을 수 있는 여지는 있습니다.
<소화전>
아파트 공용부 복도에 설치가되고 화재발생 시 노즐을 연결하여 불을 빠르게 끌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습니다. 사용법은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노즐을 배관에 연결하고 수도꼭지 열듯 밸브를 열면 소방수가 나오게 됩니다.
<피난구 유도등>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 각 상부, 복도 마다 유도등이 설치가 되어 있습니다. 연기발생이 많은 상황, 화재로 정전이 발생되어 시야가 어두운 상황 등 을 대비하여 탈출로로 안내하는 표지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평소 피난구유도등의 위치를 봐두는 게 화재 시 큰 도움이 될 수가 있습니다.
<시각경보기>
소리로 전해지는 경보 뿐만아니라 불빛이 반짝거려 시각적으로 위험을 알리는 시각경보기가 공용부 공간에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청각장애인 분들을 위해 설치되는 이유도 있습니다.
<소화기>
아파트 공용부에는 반드시 소화기 설치가 의무화 되어 있습니다. 혹시 아파트 실내, 실외 작은 불꽃이 일어나거나 초기화재를 진압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되기 때문에 평소 위치를 미리파악하고 사용법도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 아파트 화재발생시 대처방법
<불꽃에 작게일어날때>
아파트 실내 또는 실외 화재가 시작되었을 때 상황입니다. 아파트에 공용부 또는 실내에 준비되어 있는 소화기를 사용해서 초등 대응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보통은 분말소화기가 설치되어 있고 전기, 유류, 목재, 섬유 등 모든 화재에 적합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그 외 만약 공용부 위치에 불꽃이 일어나고 있다면 소화전도 활용해 볼 수가 있습니다.
- 소화기 사용법
- 화재가 발생된 곳까지 소화기를 가져간다
- 소화기의 안전핀을 뽑는다.(뽑지 않으면 손잡이가 눌리지 않음)
- 소화기 노즐을 화재발생 위치에 맞춘다.
- 손잡이를 눌러 소화기를 작동시키고 빗자루로 쓸듯이 화재를 진압한다.
- 소화전 사용법
- 소화전 전면의 뚜껑을 연다.
- 내부에 비치되어 있는 호스를 소화전배관에 연결한다.
- 물이 분사되는 관창을 연결한다.
- 밸브를 열어 물을 분사한다.(수압이 강하기 때문에 2인 1조가 권장됩니다.)
<불꽃이 크게 일어났을 때>
이미 화재가 번진 상황이라면 개인이 불을 끄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외부로 신속하게 대비를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대비를 할 때도 몇 가지 준수사항이 있습니다.
- 피난구 유도등이 부착된 출구로 반드시 나가야 합니다. 외부로 통하는 출입구마다 피난구 유도등이 점등되어 있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습니다.(정전이 돼도 불은 들어옵니다.)
- 피난을 할 때는 절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해야 합니다.(화재로 인한 정전 발생 시 엘리베이터가 멈출 수 있습니다.)
- 대비를 하는 와중 큰 목소리로 '불이야' 화재를 알리고 만약 경보벨이 울리지 않고 있다면 소화전에 설치되어 있는 경보버튼을 눌러줍니다.
- 큰 화재로 인해 대비를 할 때는 한 출구로 사람들이 많이 몰려 부상의 위험이 생길 수가 있습니다. 침착하게 대응을 하고 다른 배려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 안전한 장소로 대비를 한 이후에는 119 신고를 합니다.
◼︎ 탈출이 어려운 경우
화재의 규모가 너무 커져 도저히 피난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위급 상황에서는 발코니 베란다 한쪽 끝의 벽을 부술 수 있습니다. 위급시 옆세대로 이동을 할 수 있게끔 만들어진 벽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부수고 이동을 할 수가 있습니다. 안전한 위치에서 119 신고를 하고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리되 무리하게 탈출을 시도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큰 화재가 발생된 상태에서 출구의 문을 열면 순간적으로 화재가 몰아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어 위험할 수가 있습니다. 안전한 베란다 벽을 통해 비교적 안전한 세대로 이동후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시설관리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소방시설관리사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 및 연봉 전망 (0) | 2024.03.12 |
---|---|
특급 1급 2급 3급 건축물 소방훈련 규정 방법 절차 및 과태료 사항 (0) | 2023.10.31 |
소방시설관리사 합격률 및 전망 (0) | 2022.12.26 |
지하주차장 소방시설 법규 및 관리 (0) | 2022.09.30 |
소화기 특정소방대상물 능력단위 설치기준 (0) | 2022.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