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설관리/전기59 MCCB 차단기 고장 열화 원인 및 점검방법 체크리스트 전기유지보수 업무를 보다 보면 점검항목 중 대부분을 차단기 분야가 차지하게 됩니다. 고압 VCB, ACB부터 부하단으로 가는 누전차단기, 배선용 차단기등이 있는데 이번 시간은 설비, 실험장비에 많이 물려있는 MCCB 차단기 점검 항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MCCB 차단기 고장원인 - 지속적인 열화현상 차단기 용량 정격에 준하는 전류가 계속적으로 통할시 온도 상승으로 인해 과열, 열화 현상이 발생되어 불량이 쉽게 생기게 됩니다. 정격에 60% ~ 70% 정도까지 전류를 허용하는 것이 수명 연장에 도움이 됩니다. - 환경적인 요인 MCCB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이 분진 자체가 많이 날리거나 먼지가 퇴적되는 조건이 갖고 있다면 부품 발청 저항증가 등으로 차단기의 수명이 쉽게 줄어들고 화재의.. 2024. 1. 27. 형광등 깜빡거림 원인 이유 및 안정기 셀프 교체방법 전등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대부분의 사무실, 아파트, 주택 등에 LED 전등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형광등 타입을 사용하는 곳이 있습니다. 사용하다 보면 깜빡거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어떤 이유로 해당 문제가 발생되는지 그리고 해결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 형광등 깜빡거리는 이유 원인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지만 대표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가 다음과 같습니다. 등을 양쪽에 끼우게되는 소켓이 오염이 되었거나 접촉이 좋지 못한 경우 깜빡거리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소켓 외관을 보았을 때 깨져있으면 교체를 해줘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잘 조정을 하여 접촉상태를 좋게 만들어 주면 해결이 될 수 있습니다. 하루 6시간 정도 형광등을 켠다면 수명은 대략 1년 ~ 3년 정도가 됩니다. 교체.. 2024. 1. 22. 센서등 불이 계속 들어오는 고장 현상 해결방법 및 교체방법 현관에 있는 센서등이 혼자서 켜지는 경우 또는 멀리서 사람이 지나가도 민감하게 켜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센서등을 교체해야 하는지 고민이 될 수 있지만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센서등 자체 불량이 발생되었을 때 교체하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 센서등 불이 계속 들어올때 해결방법 대부분의 센서등에는 주간, 야간 전환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간으로 설정을 하게 되면 센서의 민감도가 높아져 낮, 밤 불이 모두 들어오며, 야간으로 설정을 하면 센서가 둔감해져 낮에는 켜지지 않고 밤에 주로 등이 들어오게 됩니다. 센서등이 민감하게 작동을 계속한다면 야간 위치에 스위치를 두고 사용해보면 되고, 반대로 센서등이 평소 잘 켜지지.. 2024. 1. 10. 후크메타 전류측정 방법 차단기/전선/콘센트 허용전류 알아보기 전열 라인을 구성하는 전선, 차단기, 콘센트 등에는 각각의 허용전류치가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규격화된 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게는 20A 이하의 전류치를 허용하고 있고 해당 수치를 넘어서게 되면 누전차단기 과전류 트립이 일어나고, 전선 및 콘센트 등에 과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 전류 측정을 해야하는 경우 전류량을 측정할때는 보통 후크메타라는 장비를 사용하게 됩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하고 이후 설명을 이어서 하겠습니다. 전류량을 점검해야 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겼을 때입니다. - 차단기가 트립될때 전열기기와 연결이 되어있는 차단기가 자꾸 트립이 걸릴 때 전류치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전열차단기는 15A ~ 20A 용량을 사용하게 되고 허용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2023. 12. 20. 이전 1 2 3 4 5 6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