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설관리/전기62

형광등 깜빡거림 원인 이유 및 안정기 셀프 교체방법 전등 기술이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대부분의 사무실, 아파트, 주택 등에 LED 전등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형광등 타입을 사용하는 곳이 있습니다. 사용하다 보면 깜빡거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어떤 이유로 해당 문제가 발생되는지 그리고 해결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정리했습니다. ◼︎ 형광등 깜빡거리는 이유 원인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지만 대표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가 다음과 같습니다. 등을 양쪽에 끼우게되는 소켓이 오염이 되었거나 접촉이 좋지 못한 경우 깜빡거리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소켓 외관을 보았을 때 깨져있으면 교체를 해줘야 하고 그렇지 않다면 잘 조정을 하여 접촉상태를 좋게 만들어 주면 해결이 될 수 있습니다. 하루 6시간 정도 형광등을 켠다면 수명은 대략 1년 ~ 3년 정도가 됩니다. 교체.. 2024. 1. 22.
센서등 불이 계속 들어오는 고장 현상 해결방법 및 교체방법 현관에 있는 센서등이 혼자서 켜지는 경우 또는 멀리서 사람이 지나가도 민감하게 켜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센서등을 교체해야 하는지 고민이 될 수 있지만 간단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센서등 자체 불량이 발생되었을 때 교체하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 센서등 불이 계속 들어올때 해결방법 대부분의 센서등에는 주간, 야간 전환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황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간으로 설정을 하게 되면 센서의 민감도가 높아져 낮, 밤 불이 모두 들어오며, 야간으로 설정을 하면 센서가 둔감해져 낮에는 켜지지 않고 밤에 주로 등이 들어오게 됩니다. 센서등이 민감하게 작동을 계속한다면 야간 위치에 스위치를 두고 사용해보면 되고, 반대로 센서등이 평소 잘 켜지지.. 2024. 1. 10.
후크메타 전류측정 방법 차단기/전선/콘센트 허용전류 알아보기 전열 라인을 구성하는 전선, 차단기, 콘센트 등에는 각각의 허용전류치가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규격화된 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게는 20A 이하의 전류치를 허용하고 있고 해당 수치를 넘어서게 되면 누전차단기 과전류 트립이 일어나고, 전선 및 콘센트 등에 과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습니다. ◼︎ 전류 측정을 해야하는 경우 전류량을 측정할때는 보통 후크메타라는 장비를 사용하게 됩니다. 사용방법은 간단하고 이후 설명을 이어서 하겠습니다. 전류량을 점검해야 하는 상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겼을 때입니다. - 차단기가 트립될때 전열기기와 연결이 되어있는 차단기가 자꾸 트립이 걸릴 때 전류치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전열차단기는 15A ~ 20A 용량을 사용하게 되고 허용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2023. 12. 20.
충전 전동드릴 볼트수 선택방법 및 사용법 정리 충전드릴의 종류는 크게 볼트용량으로 나누게 됩니다. 볼 수가 높을수록 드릴모터의 힘은 강해지고 적용할 수 있는 자재종류가 많아지게 됩니다. 작업환경에 맞게 충전 전동드릴을 선택하는 방법과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충전드릴 볼트수 선택방법 충전 전동드릴은 사용되는 볼트수에 따라 모터를 돌리는 토크힘이 달라지게 됩니다.작업의 용도, 성격에 따라 용량선택을 잘해야 사용이 편리하고 시공의 완성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쉽게 생각해 볼트수는 전동드릴의 힘을 말하고 탑재되는 배터리 용량은 지속시간을 말한다고 보면 됩니다. - 10V ~ 15V 보통 콤팩트한 사이즈로 나와 무게가 가볍고 휴대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나무에 나사를 박고 구멍을 뚫거나, 얇은 철판에 나사를 박는 정도의 용도로 사용하면 .. 2023. 7.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