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득이하게 지하 주차공간이 없는 장소에 차량을 잠시 주차했다가 새똥을 맞게 되는 불상사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외관상 보기에 안 좋고 냄새가 나지만 가장 큰 문제는 차량을 도장면을 훼손시켜 변색 또는 광택을 없애고 심하면 부식까지 일으키는 것입니다.
◼︎ 자동차 도장면에 새똥이 치명적인 이유
기본적으로 새똥은 강한 산성의 성향을 보이기 때문에 철판 또는 도장면의 표면을 부식 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배설액에 포함되어 있는 점액성 물질은 대부분이 강한 인 성분과 산 성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볕이 드는 날씨라면 더욱 빨리 도장면을 망가트리게 되는 것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배설물 안에는 새들이 먹이를 먹는 과정에서 소화가 되지 못한 모래알, 작은 과일 씨 등이 있어 그대로 닦아 냈다가는 차량 스크래치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장시간 차량에 묻어있는 새똥을 방치하게 되면 도장면의 광택과 변색은 물론 깊숙한 부식을 일으키기 때문에 그 주변으로 페인트가 벗겨지는 일까지 생기게 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새똥이 굳어버려서 눌어붙어 버리기 전 즉시 세척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도장면 새똥 안전하게 제거하는 방법
<세차장 이용 시>
- 처음부터 고압수를 이용해 제거하게 되면 새똥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알갱이로 인해 차량 스크래치가 생겨날 수 있기 때문에 약한 수압으로 새똥 부분에 발사를 하여 10분 정도 불리는 과정을 갖습니다.
- 더 빠르게 새똥을 불리려면 물을 뿌려준후 물티슈, 혹은 키친타월 같은 것으로 그 부위를 덮어 놓습니다.(이때 닦아내면 도장면 훼손이 올 수가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10분 정도 지나 새똥이 불려지면 그때 고압수를 쏴서 씻겨냅니다.
- 물로 씻겨낸후 새똥이 묻었던 자리에 거품 세차를 한 후 마지막에 왁스칠(고체 왁스면 더욱 좋습니다)로 마무리를 해줘 도장면을 보호해줍니다.
<집에서 없앨 때>
- 집에서 긴급하게 새똥을 제거할 때는 우선 물에 적신 물티슈, 물에 적신 키친타월, 적신 손수건 등을 이용해 새똥을 불리는 과정을 갖습니다.
- 충분히 불려준 새똥을 물을 살살 뿌려 주면서 닦아냅니다. 모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부드럽고 천천히 진행해 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 완벽하게 새똥의 인, 산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물과 식초 1:1 비율로 된 걸 이용해 살짝 뿌려주고 마찬가지로 부드럽게 닦아줍니다. 새똥 성분이 워낙 강력하기 때문에 식초물로 제거해 줘야 확실하게 도장면을 보호할 수가 있습니다.
- 마무리로 간단하게 물왁스 스프레이를 새똥이 묻었던 면에 뿌려줘 코팅을 해주는 작업을 해주게 됩니다.
<야외에서 긴급으로 없앨 때>
- 새똥이 굳어버리기 전 발견을 했다면 우선 생수 한 병을 구입합니다.
- 물티슈, 휴지 등에 최대한 물을 많이 적시고 새똥을 불리는 과정을 짧게 갖습니다.
- 어느 정도 똥이 묽어지게 되면 쓸어내리지 말고 오무리는 형식으로 새똥을 제거합니다.
- 마지막 남은 생수물을 활용해 도장면에 뿌려주고 몇 번 부드럽게 닦아내줍니다.
- 마지막으로 물왁스 스프레이가 있다면 간단하게 뿌려주고 부드러운 천으로 닦습니다.
◼︎ 새똥은 바로바로 제거하기
같은 연식의 차량 이더라도 어떻게 관리를 했느냐에 따라 도장면의 광택과 부식 정도가 확연하게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바로 이러한 세심한 부분의 관리가 있어야 오랫동안 좋은 광택을 유지할 수가 있고 도장면을 보호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대부분 차량에서 보이는 일부 변색과 광택 저하는 새똥으로 인해 발생이 되는 것입니다. 그만큼 부식을 시키는 강도가 강하고 제대로 제거를 하지 않게 되면 그 성분이 오랫동안 남아 변색을 일으키키 때문입니다. 별것 아니라고 넘기지 마시고 새똥이 차량에 묻어있다면 눈에 보이는 데로 그때그때 제거하는 것이 소중한 차량의 외부를 지키는 일이 될 것입니다.
'생활톡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알콜 비알콜 맥주 음주단속 문제없을까? (0) | 2022.07.04 |
---|---|
주택에서 사는 장점 과 단점 알아두어야 할 것 (0) | 2022.06.28 |
터널 안 차선 변경 가능한가?과태료 및 벌점 (0) | 2022.06.24 |
강아지 산책 시간 및 하는 이유 (0) | 2022.06.23 |
근로기준법 장기간 병가 살펴보기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