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가 발생되면 연기 발생이 인명피해를 가장 크게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합니다. 앞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피난구 방향으로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유도등이 하게 되는데 그중 계단통로유도등의 설치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계단통로유도등 이란?
여러가지 유도등 형태 중 하나로써 계단 참에 설치되어 계단을 통해 대비하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탈출구로 향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합니다.
멀리서도 인식이 가능할 만큼의 충분한 밝기를 갖고 있어야 하며 위층, 아래층 층수 표시가 되어있는 게 대피를 하는데 좀 더 효과적입니다.
◇ 계단통로유도등 설치기준
◽ 설치 높이
벽면 1m 이하의 높이로 설치가 되어야하며 너무 낮아 인식이 어려운 경우도 있어 되도록 바닥 쪽으로 너무 내리지 않게 합니다.
◽ 각 계단참 설치
한층에 계단참이 1개가 있는 경우 계단통로유도등 1개 설치, 층고가 높아 계단참이 2개가 있는 경우는 2개를 설치합니다.
◽ 밝기
연기가 자욱한 상황에도 인식이 충분하게 가능해야 함으로 적어도 0.5 lux 이상 밝기가 나와줘야 합니다.
◇ 점검방법
◽ 유도등에 빨간불 들어오는 경우
내부에 들어가있는 배터리 전압이 떨어져 있음을 뜻합니다. 정전 시 유도등 배터리 전압으로 불이 들어오는 구조이기 때문에 점검을 해줘야 합니다.(정전 상황이 아닐 때는 상시전압 사용)
◽ 테스트 버튼 눌러보기
게단통로유도등 전면에 있는 테스트 버튼을 누르면 배터리전압으로 전환이 되고 정상적으로 불이 들어와야 합니다. 만약 버튼을 눌렀는데 유도등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배터리 불량으로 봐야 합니다.
◽ 평상시에 불이 안 들어오는 경우
유도등 LED 불이 들어오지 않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내부에 들어가 있는 기판회로에 불량이 발생된 경우 두 번째는 LED 램프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경우입니다. 유도등 모델명을 검색해 램프, 기판을 별도로 구입 가능하고 간단하게 교체를 해주면 됩니다.
옥내 소화전 사용방법 미리 숙지하기
화재는 예고 없이 찾아오게 되고 실제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당황을 하게 되어 어떻게 초기 진압을 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운 순간이 찾아오게 된다. 화재의 초기진압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
kjkjgo.tistory.com
'시설관리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 소화전 스프링클러 엔진 펌프 내연기관 설비 장점 단점 및 관리방법 (0) | 2025.04.16 |
---|---|
2025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시험일정 과목 및 공부방법 알아보기 (0) | 2025.03.31 |
고층건물 화재시 대피방법 및 초기진압 소화기 소화전 사용방법 (0) | 2025.01.18 |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기 HCFC-123 특징 사용장소 및 주의사항 (0) | 2024.05.22 |
2024 소방시설관리사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 및 연봉 전망 (0) | 2024.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