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관리/소방

소방 소화전 스프링클러 엔진 펌프 내연기관 설비 장점 단점 및 관리방법

by 운동과 영양 2025. 4. 16.
반응형

 빌딩, 아파트 등의 건물에서 가장 중요한 설비는 소방과 관련된 스피링클러, 소화전입니다. 초기화재 대응이 충분히 가능하게 만들어 대형화재로 이어질 확률을 확실히 줄여주기 때문이에요. 정전 시 에도 안정적으로 소방설비를 가동해 주는 엔진펌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방엔진펌프 컨트롤판넬
소방엔진펌프

소방설비 엔진 펌프 란?

 보통 사이즈가 큰 건물에는 비상발전기 설비가 들어가고 정전 시 가동이 되어 엘리베이터, 비상전열, 소방설비(스프링클러 펌프, 소화전펌프 등)등에 전원을 투입하게 됩니다.

 

 하지만 비상발전기에 고장이 발생되면 소방설비 가동이 무방비상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위험부담이 있습니다. 이것을 해소시켜 주는 설비가 바로 소방 엔진펌프입니다.

 

 물론 엔진펌프도 고장이 나면 소방설비 작동이 어렵겠지만 엔진의 사이즈가 작아 유지관리가 쉽기 때문에 고장률이 적은 게 사실입니다.

 

 정전상황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소화전 또는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면 자동으로 엔진이 기동 되어 펌프를 작동시키게 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소방 내연기관 엔진펌프 장단점

<장점>

- 정전 시 대응이 쉽다

 건물 전체가 정전되는 상황에서도 소방설비 커버가 충분히 되기 때문에 화재대응에 매우 안정적입니다. 다만 평소 엔진펌프에 대한 관리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 압을 충분히 발생시킨다.

 소화전, 스프링클러 펌프에 맞게끔 설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출력이 충분하게 공급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

- 소음이 심하다

 펌프가 작동될 때마다 엔진이 기동 되기 때문에 소음, 진동이 심한 단점이 있습니다.

 

-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엔진오일, 기동배터리. 시동모터 등의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소방안전관리자 업무 및 주의사항.

 

소방설비 엔진펌프
소방설비

소방 엔진펌프 관리방법

 평상시는 스프링클러, 소화전 설비가 기동 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적어도 한 달에 한 번은 인위적으로 기동시 켜 엔진의 작동 상태를 체크하는 게 좋습니다.

 

<엔진오일 관리>

 차량 엔진과 구조가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엔진오일양의 양과 점도를 3개월에 한 번씩 체크하는 게 좋습니다.

 

<냉각수 양>

 엔진기동이 될 때 냉각수의 양이 적으면 과열로 정지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1개월 ~ 3개월에 한 번씩 확인을 합니다.

 

<배터리 전압 체크>

 기동시 사용되는 배터리전압을 한 달에 한 번씩 확인합니다.

 

<스타트 모터 상태 점검>

 최조 엔진을 기동 하는데 필요한 스타트모터의 컨디션을 점검합니다.

 

 

화재 수신반 P형 R형 차이점 알아보기

◈ 화재 수신반 1. 설치기준 - 방재실 등 사람이 항상 상주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며 설치시는 경계구역 일람도 및 구역 지도가 함께 비치가 되어야 한다. - 수신반의 화재 벨이

kjkjg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