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건물과 다르게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별도의 행동요령으로 대피를 해야 합니다. 연통효과로 인해 화재연기가 상부층으로 빠르게 확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늦춰지게 되면 인명피해의 범위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 화재초기 진압
발화가 시작된지 얼마 안 된 시점이라면 주변의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여 초기진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미 불길이 크게 번지고 있는 상태라면 개인적인 화재진압을 하지 않고 소방서에 신고를 하고 빠르게 대피를 해야 합니다.
<소화기 사용방법>
- 공용부 복도 또는 사무실 출입구 등에 비치된 소화기를 확인합니다.
- 소화기 상부에 있는 압력계 바늘이 녹색 부분을 가르키고 있는지 확인합니다.(빨간 부분으로 바늘이 떨어져 있으면 압이 없는 상태로 작동이 안 될 수 있음)
- 소화기 상단에 있는 안전핀을 제거합니다.
- 소화기 노즐이 화재점을 향하도록 합니다.
- 소화기 손잡이를 강하게 눌러 약제 분출이 되도록 하고 빗자루로 쓸듯히 진압을 합니다.
<소화전 사용방법>
- 공용부 복도 벽면을보면 소화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빨간색 LED가 점등되어 있음)
- 소화전함을 열어 호스가 배관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연결되어있지 않다면 호스를 배관에 연결시켜 줍니다.
- 한 명은 소화전 호스를 화재점을 향하도록 잡고 다른 한 명은 소화전 내부에 있는 밸브를 서서히 열어줍니다. 수압이 강하기 때문에 너무 빨리 열면 진압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화재가 완전히 진압될때 까지 충분하게 물을 분사해 줍니다.
◼︎ 고층건물 화재 대피방법
1. 화재경보 비상벨 누르기
복도벽에 설치되어있는 소화전 상단을 보면 '비상벨 버튼'이 있고 강하게 눌러주면 경보음이 발생됩니다.'불이야'를 함께 외쳐주며 주변사람에게 화재발생을 알려주는 게 중요합니다.
2. 물에 적신 담요, 수건 준비
고층에서 대피를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물에 적신 담요, 수건을 준비해 주는 게 좋습니다. 이산화탄소 화재연기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을 할 때는 자세를 낮추고 적신 수건 등으로 코와 입을 가려줍니다.
3. 계단 이용하기
화재가 크게 발생된 상황에서는 정전이 발생될 우려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대피 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고 계단을 통해 출구쪽으로 이동을 합니다.
4. 출구문 손잡이 확인
대피를 하다보면 출구문을 만나게 되는데 손잡이를 만져봐서 심하게 뜨겁지 않다면 조심스럽게 문을 열어줍니다. 문 손잡이가 심하게 뜨거워져 있다면 건너편 쪽에 큰 화재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대피방법을 찾아봐야 합니다.
◼︎ 화재대피가 어려울 경우
<소방서 신고 후 구조대기>
화재확산이 너무 커서 고층건물에서 대피가 어려운경우 119 신고를 하고 잠시 구조대기를 하도록 합니다. 연기 확산이 일어나는 경우 화장실 쪽으로 이동을 하여 샤워기를 틀어놓는 것도 한 방법이 됩니다.
<완강기 사용>
화재 크기가 너무 크고 구조가 길어지는 경우에 창가쪽에 설치된 완강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사람 체중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부분에 있는 사용방법을 잘 살펴보고 이용하도록 합니다.
위급 시 당황을하여 완강기 사용을 제대로 못하는 분들이 대부분이기에 평소 관심을 갖고 완강기 사용법을 숙지해 두는 게 좋습니다.
ABC 분말 소화기 관리사항 및 사용방법.
⦿ 분말소화기 종류 소화기 내부에 아주 미세한 소화분말이 들어있고 축압 방식을 사용하여 화재가 난 부분에 발사를 할 수가 있다. 소화 약제의 주성분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는데 탄산수소 나
kjkjgo.tistory.com
'시설관리 >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소방설비기사 기계분야 시험일정 과목 및 공부방법 알아보기 (0) | 2025.03.31 |
---|---|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기 HCFC-123 특징 사용장소 및 주의사항 (0) | 2024.05.22 |
2024 소방시설관리사 시험일정 응시자격 합격률 및 연봉 전망 (0) | 2024.03.12 |
특급 1급 2급 3급 건축물 소방훈련 규정 방법 절차 및 과태료 사항 (0) | 2023.10.31 |
아파트 화재시 대피 대처방법 및 소방시설 알아보기 (0) | 2023.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