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관리/소방

고층건물 화재시 대피방법 및 초기진압 소화기 소화전 사용방법

by 운동과 영양 2025. 1. 18.
반응형

 일반건물과 다르게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별도의 행동요령으로 대피를 해야 합니다. 연통효과로 인해 화재연기가 상부층으로 빠르게 확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간이 늦춰지게 되면 인명피해의 범위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화재가 발생 된 고층빌딩
화재

◼︎ 화재초기 진압

 발화가 시작된지 얼마 안 된 시점이라면 주변의 소화기 또는 소화전을 이용하여 초기진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미 불길이 크게 번지고 있는 상태라면 개인적인 화재진압을 하지 않고 소방서에 신고를 하고 빠르게 대피를 해야 합니다.

 

<소화기 사용방법>

  1. 공용부 복도 또는 사무실 출입구 등에 비치된 소화기를 확인합니다.
  2. 소화기 상부에 있는 압력계 바늘이 녹색 부분을 가르키고 있는지 확인합니다.(빨간 부분으로 바늘이 떨어져 있으면 압이 없는 상태로 작동이 안 될 수 있음)
  3. 소화기 상단에 있는 안전핀을 제거합니다.
  4. 소화기 노즐이 화재점을 향하도록 합니다.
  5. 소화기 손잡이를 강하게 눌러 약제 분출이 되도록 하고 빗자루로 쓸듯히 진압을 합니다.

 

 

<소화전 사용방법>

  1. 공용부 복도 벽면을보면 소화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빨간색 LED가 점등되어 있음)
  2. 소화전함을 열어 호스가 배관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연결되어있지 않다면 호스를 배관에 연결시켜 줍니다.
  3. 한 명은 소화전 호스를 화재점을 향하도록 잡고 다른 한 명은 소화전 내부에 있는 밸브를 서서히 열어줍니다. 수압이 강하기 때문에 너무 빨리 열면 진압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4. 화재가 완전히 진압될때 까지 충분하게 물을 분사해 줍니다.

 

옥내 소화전 사용방법 미리 숙지하기

 

계단과 피난구 그림
대피

◼︎ 고층건물 화재 대피방법

1. 화재경보 비상벨 누르기

 복도벽에 설치되어있는 소화전 상단을 보면 '비상벨 버튼'이 있고 강하게 눌러주면 경보음이 발생됩니다.'불이야'를 함께 외쳐주며 주변사람에게 화재발생을 알려주는 게 중요합니다.

 

2. 물에 적신 담요, 수건 준비

  고층에서 대피를 해야하는 상황에서는 물에 적신 담요, 수건을 준비해 주는 게 좋습니다. 이산화탄소 화재연기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동을 할 때는 자세를 낮추고 적신 수건 등으로 코와 입을 가려줍니다.

 

아파트 화재시 대피 대처방법

 

3. 계단 이용하기

 화재가 크게 발생된 상황에서는 정전이 발생될 우려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대피 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고 계단을 통해 출구쪽으로 이동을 합니다.

 

4. 출구문 손잡이 확인

 대피를 하다보면 출구문을 만나게 되는데 손잡이를 만져봐서 심하게 뜨겁지 않다면 조심스럽게 문을 열어줍니다. 문 손잡이가 심하게 뜨거워져 있다면 건너편 쪽에 큰 화재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른 대피방법을 찾아봐야 합니다.

 

◼︎ 화재대피가 어려울 경우

<소방서 신고 후 구조대기>

 화재확산이 너무 커서 고층건물에서 대피가 어려운경우 119 신고를 하고 잠시 구조대기를 하도록 합니다. 연기 확산이 일어나는 경우 화장실 쪽으로 이동을 하여 샤워기를 틀어놓는 것도 한 방법이 됩니다.

 

<완강기 사용>

 화재 크기가 너무 크고 구조가 길어지는 경우에 창가쪽에 설치된 완강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사람 체중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 부분에 있는 사용방법을 잘 살펴보고 이용하도록 합니다.

 

 위급 시 당황을하여 완강기 사용을 제대로 못하는 분들이 대부분이기에 평소 관심을 갖고 완강기 사용법을 숙지해 두는 게 좋습니다.

 

 

ABC 분말 소화기 관리사항 및 사용방법.

⦿ 분말소화기 종류 소화기 내부에 아주 미세한 소화분말이 들어있고 축압 방식을 사용하여 화재가 난 부분에 발사를 할 수가 있다. 소화 약제의 주성분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는데 탄산수소 나

kjkjg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