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설관리/소방31

화재 수신반 P형 R형 차이점 알아보기 ◈ 화재 수신반 1. 설치기준 - 방재실 등 사람이 항상 상주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가 이루어져야 하며 설치시는 경계구역 일람도 및 구역 지도가 함께 비치가 되어야 한다. - 수신반의 화재 벨이 울었을 때는 다른 경보음과 명확하게 구분이 되어야 한다. - 감지기, 중계기, 소화전 등의 소방기기들의 일람도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경계구역 표시도가 있어야 한다. -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 1.5m 이하의 높이를 적용해야 한다. - 건축물 하나의 소방대상물에 2개 이상의 수산기가 설치될 때는 상호 간의 직적 연락 수단이 되는 통화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 설치장소는 화재의 우려가 적고 소음 또는 충격의 우려에서 안전한 곳으로 선정을 한다. 또한 미세먼지 나 연기가 발생되는 장소를 피해야 한다.. 2022. 3. 28.
불꽃감지기 설치기준 및 점검방법 ◆ 불꽃감지기 란? 가연물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연기, 열, 불꽃 등의 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중 불꽃에 반응하게 되는 감지기가 불꽃감지기이다. 빛의 파장과 자외선 등의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게 되는데 보통의 연기나 열 감지기보다 정확도가 높고 반응 속도도 월등하게 빠르다. 설치 비용은 다소 비쌀 수가 있으나 연기나 열 감지기의 오동작이 거의 없고 안정성이 있기 때문에 대형 실험실, 화학공장, 제련소, 격납고 등에 설치를 한다. ◆ 불꽃감지기 설치기준 알아보기 1. 감지기는 공칭감시거리 또는 공칭 시야각을 기준으로 감시 구경이 모두 포용되도록 설치한다. 2. 공칭감시거리, 공칭 시야각은 형식승인 내용에 따라야 한다. 3. 화재감기를 유효하게 감지할 수 있는 모서리 또는 벽등에 설치한다... 2022. 1. 24.
단독 주택용 화재경보기 (화재감지기) 설치 필요성. ◆ 주택 화재경보기(감지기) 중요성 - 건물이나 주택에 화재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사람에게 인지를 시켜 주는 게 화재경보이다. 이 화재경보 시스템은 화재감지기라는 것이 열이나 연기에 의해 가장 먼저 감지를 하게 된다. 보통 빌딩 같은 곳은 수신반이 존재하고 그에 부수적인 시스템인 감지기, 벨, 시각경보기가 설치가 되어있지만 단독 주택에는 화재수신기가 없어 감지기가 아예 준비 안 된 곳이 많다. 2011년 이후 단독 주택에도 화재감지기가 의무적으로 설치 요구가 되지만 현실적으로 검수가 불가능한 점이 많아 지켜지지 않는 실정이다. ◆ 단독 주택 화재 경보기 실효성? 주택에는 화재수신기가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단독화재경보기 설치가 필요한데 화재감지기 자체에 경보를 울릴 수 있는 장치가 있어 열이나 연기가 감지.. 2022. 1. 3.
ABC 분말 소화기 관리사항 및 사용방법. ⦿ 분말소화기 종류 소화기 내부에 아주 미세한 소화분말이 들어있고 축압 방식을 사용하여 화재가 난 부분에 발사를 할 수가 있다. 소화 약제의 주성분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는데 탄산수소 나트륨 이 주성분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것이 있고 탄산수소 칼륨이 주성분 혹은 인산암모늄이 주성분으로 된 소화기가 있다. 이중 ABC 소화기 주성분은 인산암모늄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분말 소화기는 주로 질식 및 냉각 효과를 이용하여 불을 끄게 되는데 대부분 형태의 화재에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이되고 있다. 사용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편이며 대부분의 화재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 후 현장의 오염이 쉽게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 분말 소화기 설치 및 관리방법 1. 거리당 설치 .. 2021. 6.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