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톡톡

이동식에어컨 소비전력 한달 전기세 얼마나 나올까 전기료 절감방법

by 운동과 영양 2025. 7. 7.
반응형

 어디든 설치가 쉽게 가능해 인기가 높은 이동식에어컨은 실내기+실외기 일체형 타입으로 되어있어 생각보다 높은 소비전력을 갖고있습니다.이동식에어컨은 대부분 정속형 타입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인버터 방식의 에어컨 보다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특징이 있죠.

 

이동식에어컨 전기세
이동식에어컨

 

◼︎ 이동식에어컨 소비전력

<6평형 ~ 8평형>

 크지않은 방사이즈에 가장 많이 적용하는 규격으로 소비전력은 브랜드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대략 1200W 내외 수준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1200W 전력이면 거실등 50W 24개를 켜놓것과 같고 헤어드라이기, 커피포트기, 전기압력밥솥 등과 거의 비슷한 수준입니다. 단, 에어컨은 장시간 가동하는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되죠.

 

<8평형 ~ 10평형>
 사이즈가 큰 공간에 사용하는 이동식에어컨의 경우 소비전력은 1500W 수준이되고 이것은 사무실에 사용하는 중간사이즈의 라디에이터와 비슷한 용량을 갖는다고 보면됩니다.이동식에어컨 타입은 대부분 정속형으로 실외기 팬속도 조절이 안되기에 전기세 방어에 약간은 취약한 단점이 있어요.

 

◼︎ 이동식에어컨 한달전기세

 가정용전기세는 크게 두 가지 요금표가 있고 금액계산의 차이가 있습니다.

  • 하계요금표
    • 7월 ~ 8월
  • 기타계절 요금표
    • 1월 ~ 6월, 9월 ~ 12월

 

- 하계요금표

기본요금(원) 전력량요금(원/kWh)
300kWh 이하 910원 처음 300kWh 까지 120원
301kWh ~ 450kWh 1,600원 다음 150kWh 까지 214.6원
450kWh 초과 7,300원 450kWh 초과 307.3원

 

 3인 ~ 4인 가족 한 달 평균 전력사용량은 대략적으로 380kWh 수준이 됩니다. 여기에 이동식에어컨 전기사용량을 더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6평 ~ 8평형 이동식에어컨을 하루에 5시간 정도 돌린다고 가정하면 전력사용량은 1200W × 5시간 × 30일 = 180,000W 즉, 180kWh가 나오고 380kWh + 180kWh = 560kWh 가 됩니다.

 

 

  • (기본요금) 7,300 + (전기사용량 요금) 300kWh × 120원 + 150kWh × 214.6원 + 110kWh × 307.3원 = 109,293원

 하루에 4시간 정도만 가동해도 일반전력량에 합산 계산하면 10만 원이 넘는 전기세가 나올 수 있습니다. 누진세폭탄 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110kWh 누진구간이 적용되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죠.

 

창문형 에어컨 장점 과 단점 실사용 후기 (소음은?)

 

◼︎ 이동식에어컨 전기세 절감방법

 실외기 가동 조절이 안 되는 타입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전기세를 절감하는 노력이 어느 정도 필요합니다.

 

<초반 풍량 세게하기>

 처음 이동식에어컨을 가동할 때 풍량을 가장 세게 하고 온도세팅도 낮게 잡아주는 게 좋습니다. 실내온도가 설정치까지 빠르게 떨어지고 나면 실외기 가동을 멈추게 되고 이후에는 유지되는 정도만 최소로 작동되기 때문입니다.

 

 

<평수에 맞는 제품 선택하기>

 평수에 비해서 용량이 작은 제품을 사용하면 오히려 실외기 가동시간이 현저하게 늘어나 전기세가 많이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되도록 평수보다 여유 있는 이동식에어컨 용량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서큘레이터 활용하기>

 에어컨과 공기순환을 시켜주는 서큘레이터를 함께 사용하면 실내온도를 좀 더 빠르게 떨어트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방 구석구석 까지 냉기가 도달해주기 때문에 쾌적함도 좀더 느끼게 되죠.

 

 

창문형 에어컨 전기세 얼마나 나올까?계산법 및 전기료 절감 팁

기온이 올라가는 5월 말부터 에어컨의 수요가 급격하게 많아지게 되며 상황에 따라 창문형 에어컨을 사용하게 됩니다. 에어컨 배관을 포설하기 어려울 때, 실외기를 설치하기 어려울 때 등의 상

kjkjgo.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