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딩, 아파트 등의 현장과 다르게 병원은 정전에 상당히 민감하고 주야를 가리지 않고 민원이 꾸준히 들어오기 때문에 업무의 강도가 낮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기, 기계 설비 두루두루 일을 배우기 좋고 나름의 복지혜택도 있어 꾸준하게 일을 하기 나쁘지 않은 근무환경도 갖추고 있죠.
❖ 병원 시설관리 근무형태
현장마다 물론 차이가 있겠지만 보통은 소장, 과장급은 주간근무만 하게되고 그 밑에 주임, 사원은 교대직으로 구성이 됩니다. 주주야야비비 또는 주야비 등의 형태인데 낮근무는 오전 9시 ~ 오후 6시까지(점심시간 12시 ~ 13시)이고 야간근무는 저녁 6시 ~ 다음날 오전 7시까지입니다.
야간근무를 할 때는 저녁 출근을 하고 비번 때는 하루 종일 쉰다고 보면 되죠. 쉬는 날이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 개인적인 일을 보기 괜찮아 오히려 교대직을 선호하는 분들도 있을 정도입니다.
❖ 병원 시설직 하기 전 미리 알아둘 것들
일반 건물과는 다른 특징이 있어 시설직군 지원을 하기 전에 미리 알아둘 사항 몇 가지가 있습니다.
◇ 정전에 민감하다
당연한 이야기 이겠지만 의료장비, 중환자실 등이 있어서 전기 정전이 되면 그 피해가 정말 커지게 됩니다. 때문에 수변전설비, 비상발전설비, UPS(비상배터리전원) 등의 시설물을 자주 점검하고 관리를 해야 합니다.
◇ 소독약 냄새에 적응해야 한다
병원 특유의 소독약 냄새를 유독 견디지 못하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 일을 하면서 병실을 계속 드나들어야 하기 때문에 적응이 필수입니다.
◇ 야간 민원도 적지 않다
아파트, 빌딩, 연구원 등의 현장은 야간이 되면 민원이 없고 거의 대기모드인데 비해서 병원은 야간민원도 적지 않기 들어옵니다. 때문에 업무강도가 낮지 않아 어느 정도 마음을 다잡고 지원을 하는 게 좋습니다.
◇ 약간의 담력도 필요하다
아무래도 중환자 분들이 많이 계시는 곳 이기 때문에 양안실을 들어갈 일도 생기고(콘센트, 전등 교체 등)해서 어느 정도의 담력도 요구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급여 수준
일반 시설관리에 비해서 업무강도가 있는 반면 급여 수준 차이는 크게 없는 게 현실입니다. 일반 기사 기준으로 세전 280 ~ 320 정도 생각하는 게 좋고 주임급은 10만 원 ~ 20만 원 정도 더 붙게 됩니다.
전기자격증을 취득해 선임을 걸고 과장급이 되면 그래도 350 ~ 380 선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기사생활을 하면서 꾸준히 공부하는 것을 권장드려요. 병원 시설직의 경우 급여 이외에 식대를 별도로 제공하고 건강검진을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별도의 혜택은 있습니다.
❖ 병원 시설직 하는 일
일반적으로 병원현장의 경우 전기, 기계 업무가 통합되어 있고 빌딩, 아파트 등과 하는 일은 비슷합니다.
◇ 전기 민원 처리
전등, 콘센트, 차단기 등을 교체하고 일부 전기가 떨어지면 복구하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전등 교체가 주로 많음)
◇ 기계 민원 처리
화장실과 관련하여 물이 나오지 않거나 변기가 막히면 처리를 하고 그 외 급배기시설, 정화조 시설, 각종 펌프류 관리를 합니다.
◇ 시설물 점검 업무
정전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변전설비, 발전설비, UPS 설비 등을 수시로 점검하고 일지에 기록하는 일을 합니다.
◇ 엘리베이터 관리
내부에 사람이 갇히거나 각종 불편사항이 접수되면 직접 유지보수를 하거나 어려운 경우 업체에 연락해 A/S 처리를 받게 됩니다.
❖ 어떤 장점이 있을까?
- 아파트, 오피스텔, 빌딩 등에 비해서 일 체계가 잘 잡혀있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일을 배우기 좋다.
- 건강검진과 관련하여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무료로 받을 수 있다.
- 전기, 기계 업무가 통합되어 있어서 경력을 쌓기가 수월하다.
- 전기설비 관련하여 점검업무, 보수업무 등을 배워나가기 나쁘지 않다.
- 생각보다 쉬는 날(비번)이 많아 개인적인 일을 보기가 좋고 자격증 공부를 하기에도 수월하다.
시설관리에서 전등수리 업무범위.
00013114 ▣ 사무실 등기구 4개가 아침 출근후 점등시키면 미세하게 떠는현상 ◈ 문제 사무실의 출근하여 점등시키면 미세하게 떤다는 민원접수를 받았다.처음 내용을 듣고 당연히 전등의 안정기
kjkjgo.tistory.com
'시설관리 >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안전관리자 법정 교육 주기 몇년마다? 위반 시 과태료 사항 (0) | 2025.05.08 |
---|---|
태양광 발전설비 전기안전관리자 법정 점검일지 작성 주기 및 점검 사항 (0) | 2025.04.05 |
전기안전관리자 직무 전기차충전소 점검 항목 및 설치규정 (0) | 2025.01.08 |
가로등 안정기 SMPS 교체방법 순서 및 점등 안되는 원인 (0) | 2024.09.22 |
3구 전등 스위치 교체방법 순서 및 준비물 알아보기 (0) | 2024.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