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이 대중화되기 시작하면 건물 내부, 외부에 전기차충전소 가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전기안전관리자 직무고시에 따라 점검항목이 존재하며 화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 전기차충전소 점검 중요성
친환경 자동차 보급 및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3항에 명시된 전기자동차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를 설치가 필요하게 됩니다. 충전을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 충전기기 등이 설치됨으로 전기사고 예방을 위한 설치규정을 갖고 있으며 정기적인 점검이 이행되어야 합니다.
최근 전기차 충전 중 화재가 발생되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어 충전소 설치가 규정대로 잘 되어있는지 체크를 하고 충전문제가 발생되지 않게끔 꾸준한 유지보수 및 점검이 필요하게 됩니다.
◼︎ 전기차충전소 점검 목적
- 화재 예방
충전기기의 결함 또는 과부하, 절연파괴 등에 따른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 감전 예방
충전부 노출, 절연저항 불량에 따른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 경제적 손실 방지
충전소의 효율성이 떨어지지 않게끔 관리를 하여 비용적인 손실을 방지합니다. 또한 충전기의 고장 문제를 최소화하여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하게 됩니다.
- 전기안전관리자 직무 이행
고압 및 저압을 사용하는 전기기기인 만큼 안전한 운용을 위해 전기차충전소 점검을 하고 기록을 남겨두도록 합니다.
◼︎ 점검 항목
- 과전류 테스트
충전소 차단기 2차 측에 호크메더 테스트기를 걸어 과전류가 발생되지 않는지 체크를 합니다.
- 절연저항 테스트
충전소 전원을 잠시 OFF 시키고 절연저항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을 합니다.
- 케이블 상태
충전기 케이블 피복이 벗겨져 있지 않은지, 정격에 맞는 케이블 굵기를 적용했는지 점검을 합니다.
- 냉각시스템
고속충전을 할 때 효과적으로 열방출을 시켜주는 냉각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이 되는지 체크를 합니다.
- 충전기 외관상태
물리적으로 파손이 일어난 곳이 없지는 확인하고 부식이 진행되는 곳이 있다면 빠르게 유지보수를 하는 게 좋습니다.
- 개폐기 상태
이상전압, 전류 등이 발생되었을 때 자동으로 전원차단이 잘 되는지 확인을 합니다.
- 누수, 습기 여부
천정 지붕 누수로 인해 충전기기에 물기가 맺히지 않았는지 체크를 합니다.
◼︎ 전기차충전소 설치 규정
- 설치되는 곳 주변에 분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합니다.
- 누수에 취약한 장소는 피하도록 합니다.
- 충전소 주변 배수시설이 확실하게 되어있어야 합니다.
- 침수등의 위험이 있는 저지대는 충전소 설치장소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 눈, 비 등에 대한 방수 조치가 확실하게 되어있어야 합니다.
- 전지자동차 충전장소임을 나타내는 표지가 있어야 합니다.
전기안전관리자 자격 및 선임 방법 그리고 과태료도 알아보기.
◈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근거 및 목적 -법적근거: 전기사업법 제 73조(전기안전관리자의 선임 등) -선임목적: 전기설비의 공사 유지및 운용에 관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기사업자나 자가용
kjkjgo.tistory.com
'시설관리 >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 발전설비 전기안전관리자 법정 점검일지 작성 주기 및 점검 사항 (0) | 2025.04.05 |
---|---|
가로등 안정기 SMPS 교체방법 순서 및 점등 안되는 원인 (0) | 2024.09.22 |
3구 전등 스위치 교체방법 순서 및 준비물 알아보기 (0) | 2024.09.07 |
전선 케이블 허용전류표 및 온도 점검방법 알아보기 (0) | 2024.06.13 |
ESS 에너지저장장치 UPS 무정전전원장치 차이점 특징 및 작동원리 (0) | 2024.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