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배선은 각각 사이즈별로 허용 전류가 달라지게 됩니다. 부하용량에 맞는 전선규격을 사용해야 열화현상으로 인한 피복파손, 절연파괴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것입니다. 허용전류표를 살펴보고 전선이 견딜 수 있는 온도 및 점검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 전선 허용전류표(가공)
규격(IEC) | 허용전류(A) | 부하설비(kW) | ||
2C(단상) | 4C(삼상) | 단상2선 220V | 삼상 4선 380V | |
2.5 ㎟ | 36 | 32 | 7 | 19 |
4 ㎟ | 49 | 42 | 9 | 24 |
6 ㎟ | 63 | 54 | 12 | 32 |
10 ㎟ | 86 | 75 | 17 | 44 |
16 ㎟ | 115 | 100 | 22 | 59 |
25 ㎟ | 149 | 127 | 29 | 75 |
35 ㎟ | 185 | 158 | 36 | 93 |
50 ㎟ | 225 | 192 | 44 | 114 |
70 ㎟ | 289 | 246 | 57 | 146 |
95 ㎟ | 352 | 298 | 69 | 177 |
120 ㎟ | 410 | 346 | 81 | 205 |
150 ㎟ | 473 | 399 | 93 | 237 |
185 ㎟ | 542 | 456 | 107 | 270 |
240 ㎟ | 641 | 538 | 126 | 319 |
300 ㎟ | 741 | 621 | 146 | 368 |
◼︎ 전선 허용 온도
전선 외부 피복은 고무재질로 되어있어 부하상승 및 규격에 맞지않은 시공으로 인해 발열 파손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00℃ 이상의 온도부터 빠르게 피복 파손 문제가 발생되며 90℃ 아래로 온도 관리가 될수 있게끔 권장이 되고 있습니다. 온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기존의 케이블 수명에서 크게 하락되는 경향이 있어 유지관리 비용의 상승 원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부하상승으로 인해 80℃ 이상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가 될때 절연파괴로 인해 차단기 트립 또는 장비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존재하며 주기적인 케이블 외관 점검 및 열화상체크가 필요합니다. 화재사고로 이어지는 사례도 존재하며 케이블의 기능이 하락하는 문제로 인해 부하 측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전선 케이블 점검 방법
<열화상 카메라 촬영>
케이블 점검을 가장 확실하게 할수있는 방법으로 열화상 점검이 있습니다. 케이블 포인트를 찍어 열화상 촬영을 통해 온도 상승을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고압, 저압 케이블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부하설비를 특히 많이 사용하는 설비에 대해서는 월 1회씩 온도변화를 기록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외관 점검>
전력 케이블 피복이 터져있지는 않은지 열화현상이 발생된 부분은 없는지 육안으로 점검하는 방법 입니다.또한 후각을 통해 타는듯한 냄새가 감지될 때는 과전류로 인한 케이블 온도상승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계전기 전류 확인>
케이블과 연결이 되어있는 계전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류량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케이블 두께에 따른 허용전류치를 미리 알고 있어야 체크가 가능합니다.
VCT VCTF 허용전압 허용전류 살펴보기
전등, 전열 라인 케이블로 가장 많이 활용이 되는 것이 아마도 VCTF 전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연선의 재질로 포설이 용이하고 피폭이 견고하게 되어있어 절연 효과가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고
kjkjgo.tistory.com
'시설관리 >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로등 안정기 SMPS 교체방법 순서 및 점등 안되는 원인 (0) | 2024.09.22 |
---|---|
3구 전등 스위치 교체방법 순서 및 준비물 알아보기 (0) | 2024.09.07 |
ESS 에너지저장장치 UPS 무정전전원장치 차이점 특징 및 작동원리 (0) | 2024.04.06 |
승강기 엘리베이터 갇힘사고 구출 자격 및 비상 조치 방법 (0) | 2024.02.01 |
MCCB 차단기 고장 열화 원인 및 점검방법 체크리스트 (0) | 2024.01.27 |
댓글